
MySQL 설치 sudoyumlocalinstallhttps://dev.mysql.com/get/mysql57−community−release−el7−11.noarch.rpm sudo yum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서버 자동 시작 설정 sudosystemctlenablemysqld sudo systemctl start mysqld mysql 서버가 실행되있는지 확인 sudosystemctlstatusmysqldmysqlroot초기비밀번호확인 sudo grep 'A temporary password' /var/log/mysqld.log mysql 접속 $ mysql -u root -p 위 명령을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을 하면 접..

ELK (Elastic Stack) 구성, 버전 jdk 11 ElasticSearch 7.2.0 Kibana 7.2.0 Logstash 7.2.0 Logstash 설치 및 테스트 설치 - Logstash URL (1) 테스트 파일 작성 vi설치경로/config/logstash−example.conflogstash−example.conf파일을만들고아래내용을입력한다.inputstdinoutputstdout(2)테스트 cd 설치경로/bin $ ./logstash -f ../config/logstash-example.conf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테스트 성공) Logstash와 Spring Boot 연동 (1) logst..

AWS 설정 변경 1. 파라미터 그룹으로 이동하기 2. 파라미터 그룹 생성을 클릭한다. 3. DB 종류 및 버전에 맞게 선택하고 그룹 이름 입력 후, 생성한다. 4. 다음과 같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생성한 파라미터 그룹을 선택한다. 5. 아래 파라미터들을 찾아 각각 utf8mb4, utf8mb4_general_ci로 변경한다. utf8mb4 character_set_client character_set_connection character_set_database character_set_filesystem character_set_results character_set_server utf8mb4_general_ci collation_connection collation_server 6. 데이터베..

AWS Route53 호스팅 생성 Route53 URL 1. 위 URL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을 클릭한다. 2. 본인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3. 생성한 도메인 주소로 들어온 뒤,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른다. 4. 값에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주소 또는 탄력적 IP 주소를 입력하고 레코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5. 다음과 같이 레코드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파란색 네모에 있는 주소들은 가비아와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들이다. 이제 가비아와 연결하자. 인스턴스와 도메인 연결 가비아 URL 회원가입 하고 도메인을 구입한 뒤에 수행한다. 1. My가비아 -> 서비스 관리를 클릭한다. 2. 본인이 구입한 도메인이 있을 것이다. 관리툴로 들어가자. 3. 네임서버 설정에 들어..

Ubuntu에서 Hostname 변경하기 위 그림과 같이 호스트이름이 IP 번호 형태로 보여진다. 이를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과정 1. /etc/hosts sudovi/etc/hosts위명령을치면아래와같은화면을볼수있다.여기서빨간색네모를본인이원하는이름으로변경한다.2./etc/Hostname sudo vi /etc/hostname 마찬가지로 hostname을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고, 빨간색 네모칸을 위에서 바꾼 이름과 동일하게 작성한다. 3. 인스턴스 재부팅 인스턴스를 재부팅하고 다시 접속해보면 이름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탄력적 IP 할당하기 탄력적 IP (Elastic IP) - 고정 IP 보통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하면 IP가 바뀌는 데 이를 고정시켜준다. 이제 방금 생성한 탄력적 IP와 EC2 주소를 연결한다. 생성된 탄력적 IP 주소를 확인하고, 페이지 위의 [작업] 버튼 -> [탄력적 IP 주소 연결] 메뉴를 선택한다. 주소 연결을 위해 생성한 인스턴스와 IP를 선택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과 같이 탄력적 IP주소가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여기서는 윈도우가 아닌 MAC OS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다음과 같이 pem 키 파일의 권한을 변경한다. chmod600test−instance.pem아래와같은명령어를입력하여ec2에접속한다. ssh -i pem경로 ec2-user@ec2의 퍼블릭 IPv4 주소 또는 도메인 정상적으로 수행했다면 다음과 같이 접속화면이 나온다. AWS 인스턴스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사용자 이름 (ec2-user) 이 달라지므로 본인의 인스턴스 종류를 확인하고 알맞게 삽입한다. 공식 문서 Amazon Linux 2 또는 Amazon Linux A..